현 정부 들어 상당수의 학생이 민주화 운동 관련 전형으로 연세대에 입학했다는 보도가 나오며 특혜 입학 의혹이 제기됐죠. <br /> <br />곽상도 국민의힘 의원은 문재인 정부 첫해인 2018학년도부터 최근까지 모두 18명이 민주화 운동 관련자 또는 자녀 자격으로 연세대 수시 모집에 합격했다며 관련 자료를 공개했는데요. <br /> <br />그러면서 곽 의원은 "민주화 운동 관련자라는 것이 무엇이기에 특혜를 주는지 모르겠다"면서 "합격자와 그 부모를 밝혀야 한다"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태경 국민의힘 의원도 "왕년에 민주화 운동 안 해본 사람 있느냐"며 "특권 없애려고 민주화 운동을 한 것인데, 헛했다"고 꼬집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자 이 같은 야당 의원들의 주장을 그대로 인용한 보도가 잇따랐고, 급기야 보수 성향 시민단체가 연세대 앞에서 기자회견까지 열어 명단 공개를 요구하고 나섰는데요. <br /> <br />이에 대해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"전형적인 침소봉대"라며 곽 의원의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번 살펴봤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민주화 운동 관련자. <br /> <br />1964년 이후 민주화 운동을 하다 사망했거나 부상을 입은 사람, 해직이나 학사 징계를 받은 사람 등이 대상으로 관련 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자격을 얻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일부 보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연세대의 기회 균형 전형을 두고 민주화 운동 관련자 자녀를 위한 특혜 전형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는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연세대 서울캠퍼스의 2021학년도 수시 모집 요강에 따르면 기회 균형 전형에는 민주화 운동 관련자 외에도 국가 보훈 대상자, 다문화 가정 자녀 등도 지원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니까 민주화 운동 관련자만을 대상으로 만든 별도의 특별 전형은 없는 거죠. <br /> <br />또 이런 비슷한 입시 전형은 연세대뿐 아니라 전남대, 성공회대 등에서도 운영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세대 측은 "기회 균형 전형은 서류와 면접 심사 모두 블라인드로 진행한다"면서 "평가자는 학생이 어떤 지원 자격을 갖췄는지 알 수 없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논란이 일자 입시 전문가 김호창 업스터디 대표는 방송 인터뷰를 통해 "해당 전형에는 독립 유공자와 고엽제 피해자, 선교사 자녀, 5·18 민주화 운동 관련자들도 포함된다"며 "민주화 운동 특혜 주장은 악의적인 거짓말"이라고 반박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"수시 모집에 민주화 운동 관련자와 그 자녀가 지원할 수 있게 만든 것은 지난 20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1008201425969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